4막 7장으로 구성된 오페라로 웅장한 장면들의 배후에서 베르디는 인간적 갈등의 재료들을 '발굴'해 내고자 노력했습니다. 이 한 편의 오페라에는 사실 두 편의 오페라가 들어있는 셈입니다. 한편은 두 민족간의 싸움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한편은 적국의 장군 라다메스에 대한 아이다의 사랑에 관한 것입니다.
제 1막
제 1장
이시스 신을 모시는 제사장 람피스는 라다메스 장군에게 곧 있을 에티오피아와의 전쟁에서 사령관이 되리라는 희망을 갖게 합니다. 라다메스는 승리할 경우 암네리스 공주의 아름다운 노예인 아이다와의 사랑을 공표한 후 그녀와 결혼하게 되기를 소망하고 있습니다.
그녀가 에티오피아의 왕 아모나스로의 딸이라는 사실은 아무도 모르고 있습니다. 아이다와 라다메스 사시의 사랑이 암네리스의 질투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전령이 에티오피아 군대가 진군해 오고 있다는 보고를 전달합니다. 왕이 라다메스를 새 사령관으로 임명합니다. 아이다는 아버지와 애인 중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기구한 운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죽음뿐이라는 것을 깨닫습니다.
제 2장
사제들이 라다메스의 무기레 축성을 올립니다.
제 2막
제 1장
이집트 군대의 개선 행렬에 맞이할 준비로 부산한 가운데 암네리스는 아이다의 마음을 떠보려고 처음엔 라다메스가 전사했다는 거짓말을 했다가 다음에는 그가 살아 있다고 말합니다. 아이다의 반응에서 암네리스는 라다메스에 대한 그녀의 사랑을 확인합니다.
제 2장
라다메스에게 승리의 월계관이 씌워지고 왕은 그에게 무슨 소원이든 다 들어줄 테니 말해 보라고 합니다. 그때 포로들이 끌려나오고 아이다는 그들 가운데서 아버지 아모나스로를 발견하고 놀라 달려나갑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정체를 감추고 이집트인들에게 에티오피아의 왕은 전쟁중에 전사하였다고 꾸며 그 말을 믿게 하는데 성공합니다. 라다메스는 왕에게 감히 아이다와 결혼을 요구하지는 못하고 대신 에티오피아의 포로들을 풀어줄 것을 간청합니다. 그러나 왕은 제사장의 주장에 따라 다른 포로들은 모두 방면하되 아이다의 아버지만은 볼모로 아이다와 함께 이집트의 왕궁에 억류해 두기로 합니다.
제 3막
아모나스로는 이집트의 반란을 꾀합니다. 라다메스는 에티오피아와의 전쟁에서 또다시 승리하게 되면 왕으로부터 아이다와의 결혼을 허락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에 아이다는 라다메스에게 그렇게 하느니 차라리 함께 자신의 고향으로 도망가자고 합니다. 이어 무사히 국경을 넘어갈 수 있는 곳이 어디냐는 그녀의 질문에 라다메스는 그녀에게 이집트 군대가 에티오피아 군대를 기습적으로 공격하고자 하는 비밀 경로를 발설합니다.
둘의 대화를 엿듣고 있던 아모나스로가 나타나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는 함께 도망갈 것을 권합니다. 신전을 나오던 암네리스와 람피스 역시 이들의 대화를 듣게 됩니다. 라다메스는 부녀를 도망가게 하고는 자신은 순순히 체포됩니다.
제 4막
제 1장
라다메스에게 국가 반역의 대죄로 사형 선고가 내려질 예정입니다. 암네리스는 그에게 자백을 부인하도록 간곡히 권하면서, 아이다는 곧 붙잡힐 것이고 아모나스로는 이미 붙잡혀 죽었다는 말도 전합니다. 그러나 그는 그녀의 제안을 단호히 거절하고 심판을 받습니다. 사제들이 토굴 속에 생매장하라는 판결을 그에게 내리고 그는 이를 받아들입니다. 암네리스는 람피스와 그의 사제들을 저주합니다.
제 2장
아이다가 토굴 한쪽 구석에서 모습을 나타냅니다. 그녀는 라다메스와 함꼐 죽기 위해 그곳에 몰래 숨어 있었던 것입니다.
'문화와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Ladi Makbet Mzenskogo Ujesda (0) | 2019.11.30 |
---|---|
카티아 카바노바 Kata Kabanova - 레오슈 야나체크, 1921년 초연 (0) | 2019.11.30 |
고독의 거리 Boulevard Solitude - 한스 베르너 헨체, 1952 초연 (0) | 2019.11.23 |
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 줄거리 - 3막 4장으로 구성된 오페라 (0) | 2019.11.23 |
람메르모르의 루치아 Lucia di Lammermoor 줄거리 (0) | 2019.11.23 |